TIL
[22.07.18] 코드스테이츠 day18
Min_dev
2022. 7. 18. 22:37
반응형
매일 데일리 회고 작성하기
계획 단계 - 정규학습시간 전
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 무엇인가요?
Lamda, Stream, Annotation 이 뭔지 파악하기
뭔지는 알아야 써먹으니까... 열심히 봐야겠다(구글링을 위해서)
오늘 학습할 내용 중에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?
enum에 대해서는 유튜브 컨텐츠로 살짝 맛보기 했었다.
고유한 데이터 즉 상수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된다.
그리고 데이터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진다.
Season -> 봄, 여름, 가을, 겨울
Switch case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!
점검 및 평가 단계 - 정규학습시간 후
오늘 학습 내용 중 새롭게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요?
- 애너테이션
- 람다식
- 스트림
오늘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요?
애너테이션이란 주석이라고 생각하며 되는데 사람에게 전달하는 주석이아닌, 컴퓨터에게 전달하는 주석이다.
기본형과 메타형이 있고, 사용자가 애너테이션을 정의할 수도있다.
대표적으로 @Overide 를 자주봤고, 이번에 람다식과 스트림을 학습하면서 배운 함수형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
@functionalInterface가 있다.
람다식은 메서드를 간략하게 만든것이라 생각하면된다.
int add(int a, int b) {
return a+b;
}
라는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
(int a, int b) -> {return a+b;} 로 표현가능하고
매개변수의 타입을 유추가능하고 바디가 한줄이면
(a, b) -> a+b 로 표현할 수 있다.
매개변수의 타입과 return문 중괄호와 세미콜론까지 생략이 가능하다.
또한 매개변수가 하나면 매개변수를 작성하는 괄호도 생략가능하다.
스트림에 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어서 설명하기는 어렵다..ㅠㅠ
List와 같은 컬렉션의 데이터를 처리할때 스트림의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
개발자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고민하는 것 보다는 무엇을 처리하는지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
스트림의 메서드를 선언하는 것만으로 데이터를 원할히 처리할 수 있다.
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요?
그나마 람다식은 어느정도는 알겠는데
스트림은 내용도 익숙하지 않고 양이 너무 많아서 감이 잘 안잡힌다.
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?
모르는 내용은 아고라 스테이츠를 통해 질문하고
코드를 최대한 많이 써보는게 중요한 것 같다.
그렇게 익숙해지다보면 어느 순간 감히 잡히는 순간이 반드시 올것이다...!
그리고 자기 전에 유튜브로 개발 관련 영상을 보는게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다
나의 오늘 학습 만족도는 몇 점인가요?
★★★☆☆
월요병에 걸려서 너무 피곤하기도하고....내용도많고....어렵고 ㅠㅠㅠㅠ
빨리 실력쌓아서 자유자재로 코드를 다루고싶다!
반응형